백엔드

[BE] DNS란 무엇일까?

공대루루 2023. 8. 6. 18:18

1. DNS란?

DNS는 Domain Name System의 줄임말로 우리가 입력한 도메인 주소를 숫자로 되어 있는 실제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하는  IP주소로 변환하는 과정을 담당하는 시스템이다. 

2. DNS의 구성요소

DNS는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 네임 서버, 리졸버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가 입력하는 도메인이 어떤 IP 주소에 해당하는지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가 필요한데 이때,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라는 규칙으로 도메인 이름 저장을 분산한다고 한다. 네임 서버가 해당 도메인 이름의 IP 주소를 찾고 리졸버가 DNS클라이언트 요청을 네임서버로 전달하고 찾은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는 전세계적인 분산 시스템인 DNS가 저장 관리하는 계층적 구조이며 도메인 주소를 어떻게 관리할 지에 대한 방법이라고 생각하면 된다고 한다.
도메인 주소는 수많은 네임 서버들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데 이때 주소들은 네임서버에서 통으로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트리 구조로 분리 시킨 다음 각 부분들을 네임서버들에 나누어 관리하는 것이다.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가 이때 도메인 주소를 관리하기 위한 전체 트리구조를 의미한다.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는 최상위에 루트 DNS 서버가 존재하고 그 하위로 연결된 모든 노드가 연속해서 이어져 있다.

- 루트 도메인 : 네임 스페이스에서 이름 해석의 출발지 역할을 하는 노드

- 최상위 도메인(TLD) : .kr(국가 최상위 도메인), .com(일반 최상위 도메인) 등 

- 2차 도메인 : .co .go 등 TLD 하위에서 관리되는 서브 도메인

- 서브 도메인 : 상위 도메인에 소속되는 각 기관별 도메인 ex. google, naver 등

👉네임서버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시키기 위해서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의 트리 구조에 대한 정보가 필요한데 이러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서버를 네임 서버라고 한다.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한다.)

👉리졸버

DNS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네임 서버로 전달하고 네이 서버로부터 정보를 받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참고

DNS란? (도메인 네임 세스템 개념부터 작동 방식까지)

[PowerDNS]DNS 이론 1 -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