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ía de Ruru
20230717 TIL 본문
프로그래머스 1단계 기사단원의 무기
숫자나라 기사단의 각 기사에게는 1번부터 number까지 번호가 지정되어 있습니다. 기사들은 무기점에서 무기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각 기사는 자신의 기사 번호의 약수 개수에 해당하는 공격력을 가진 무기를 구매하려 합니다. 단, 이웃나라와의 협약에 의해 공격력의 제한수치를 정하고, 제한수치보다 큰 공격력을 가진 무기를 구매해야 하는 기사는 협약기관에서 정한 공격력을 가지는 무기를 구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15번으로 지정된 기사단원은 15의 약수가 1, 3, 5, 15로 4개 이므로, 공격력이 4인 무기를 구매합니다. 만약, 이웃나라와의 협약으로 정해진 공격력의 제한수치가 3이고 제한수치를 초과한 기사가 사용할 무기의 공격력이 2라면, 15번으로 지정된 기사단원은 무기점에서 공격력이 2인 무기를 구매합니다. 무기를 만들 때, 무기의 공격력 1당 1kg의 철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무기점에서 무기를 모두 만들기 위해 필요한 철의 무게를 미리 계산하려 합니다.
기사단원의 수를 나타내는 정수 number와 이웃나라와 협약으로 정해진 공격력의 제한수치를 나타내는 정수 limit와 제한수치를 초과한 기사가 사용할 무기의 공격력을 나타내는 정수 power가 주어졌을 때, 무기점의 주인이 무기를 모두 만들기 위해 필요한 철의 무게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시오.
나의 풀이
약수 구하는 방법을 일단 먼저 찾아야 한다. 약수는 정수n을 나머지 없이 나눌수 있는 정수니까 나눠서 나오는 나머지 값이 0인 경우를 찾으면 된다. 정수 값을 num 이라고 했을 때 하나씩 커지는 값 index 로 나눠서 나머지가 0이 되는 index 값을 result에 넣어두면 약수의 리스트가 완성된다.
let result = []
let index = 1;
while (index <= num) {
if (num % index === 0) {
result.push(index)
}
index++
}
위에서 만든 코드를 대입해서 아래의 코드를 작성하였으나 시간복잡도에서 터져버렸다. map() 안에 while 구문을 사용해서 그런 것 같다. 약수를 구하는 부분의 시간을 좀 더 적게 사용하도록 코드를 다시 작성해보아야 할 것 같다.
function solution(number, limit, power) {
var answer = 0;
let list = [];
for (let i =1;i<number+1;i++) {
list.push(i)
}
const numList = list.map((item) => {
let result = []
let index = 1;
while (index <= item) {
if (item % index === 0) result.push(index)
index++
}
if (result.length > limit) {
return power
}
return result.length
})
answer = numList.reduce((a,b) => a+b,0)
return answer;
}
해결 방법
약수는 주어진 정수 num을 제외하고는 num/2 보다 큰 수가 나올 수 없기 때문에 약수 구하는 코드를 num 까지의 모든 수의 나머지를 확인하지 않고 num/2 까지만 확인한 후 자기자신인 num 을 마지막에 넣어주는 방식으로 바꾸었다.
그리고 기존에는 약수를 구해야하는 숫자가 들어있는 list를 만든 후 map을 사용해서 각각의 숫자의 약수의 개수를 구해줬었는데 이 방식을 사용했을 때 시간복잡도가 많이 나올 것 같아서 바로 for 구문 안에서 처리해주었다.
function solution(number, limit, power) {
var answer = 0;
let list = [];
for (let i =1;i<number+1;i++) {
let result = []
let index = 1;
while (index <= i/2) {
if (i % index === 0) result.push(index)
index++
}
result = [...result,number]
let a = result.length
if (a > limit) {
a = power
}
list.push(a)
}
answer = list.reduce((a,b) => a+b,0)
return answer;
}
약간 아슬아슬했지만 시간복잡도에서도 문제없이 통과되었다!! 다른 사람들의 풀이도 봤지만 다들 이중 반복문을 사용하는 것 같았다.
'항해99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0704 TIL (0) | 2023.07.04 |
---|---|
20230630 TIL Nestjs S3 이미지 링크가 바로 다운로드 되는 경우 (0) | 2023.06.30 |
20230629 TIL (0) | 2023.06.29 |
20230628 TIL (0) | 2023.06.28 |
20230627 TIL Nestjs에서 S3로 이미지 업로드하기 (0) | 2023.06.27 |
Comments